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농업인의 날 발상지 다워야

기사승인 2018.04.02  

공유
default_news_ad1

  원주시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다. 혁신도시 영향이 가장 크다. 대다수 지자체가 인구절벽을 실감하는 상황에서 고무적이다. 그러나 농업인구는 꾸준히 줄고 있다. 2016년 말 기준으로 원주시 농업인구는 8천322세대, 2만465명이다. 최근 5년 새 약 3천명 줄었다. 원주시 전체인구에서 농업인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6%로 감소했다. 경지면적 역시 5년 새 700㏊가량 줄었다. 도시화의 폐해다. 도농복합도시인데 도시 비중이 확대되면서 농업 비중은 감소하는 추세다. 그러나 농업은 계량화된 수치로 나타낼 수 없는 무한한 가치를 지닌다.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서도 농업은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특히 원주는 농업인의 날 발상지다. 고 원홍기 옹이 11월 11일을 농업인의 날로 정한 건 1964년이었다. 흙토(土: 十一) 자가 3번 겹치도록 정했기 때문에 기념식도 11시에 치르고 있다. 원주쌀 대표 브랜드인 토토미와 삼토문화제도 흙토 자가 3번 겹친다는 의미에서 기인했다. 그로부터 30여년 후인 1996년 정부에서 11월 11일을 공식 기념일로 지정했다. 원주 농업인들의 꾸준한 요구에 정부가 화답한 것이었다. 농업인의 날 발상지에 대한 원주 농업인들의 자부심이 큰 이유이다.
 

 때문에 농업인의 날 행사는 원주시가 전국에서 가장 규모 있게 치렀다. 그러나 11월 11일을 전후해 열리다보니 추위가 단점이었다. 당연히 행사시기를 앞당기자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었다. 하지만 상징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반발도 만만치 않았다. 다행히 농업인단체에서 동의해 올해부터 10월 초 삼토 문화 대축제가 열리게 됐다. 치악산한우축제 등 농업관련 축제를 통합 개최하고, 행사기간도 5일로 늘린다고 한다.

 원주농업의 진면목을 선보일 수 있는 장이 마련된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규모 확대에 만족해선 안 된다. 농업인과 도시민이 함께하는 축제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내실을 탄탄하게 갖춰야 한다. 원주농업을 총 망라함은 물론 우수성 홍보에 주력해야 한다. 시민들에게 로컬푸드를 소비해야 하는 당위성을 설명해야 한다. 애향심에 호소하는 시대는 갔기 때문이다. 품질로 승부해야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
 

 원주푸드종합센터, 친환경농업종합센터 등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이들 시설은 친환경농업 교육 및 원주푸드 인증을 하고 있다. 막대한 세금을 들여 건립한 농업관련 공공시설이다. 원주푸드 사업을 시작한 이유가 원주시민에게 안전한 농산물 공급한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활용도는 떨어지는 실정이다. 원주시 역시 활용도를 적극 고민해야 세금낭비 논란에서 빗겨갈 수 있다. 품질의 고급화와 아울러 생산의 규모화에 대한 고민도 절실하다. 지역별로 장려 품목을 생산하게끔 유도해야 규모화 및 출하시기 조절이 용이하다.
 

 농업문제는 국가에서도 풀지 못한 숙제다. 그러나 지자체 단위에서는 충분히 도전할 만한 대상이다. 특히 농업인의 날 발상지는 뭔가 달라야 하지 않겠는가.

원주투데이 wonjutoday@hanmail.net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