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희매촌만 폐쇄해도 큰 업적

기사승인 2018.09.10  

공유
default_news_ad1

  학성동이 도시재생 뉴딜 공모사업에 선정된 건 큰 쾌거가 아닐 수 없다. 학성동의 주홍글씨와도 같은 홍등가 이미지를 지울 수 있기 때문이다. 원주시가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공모하며 제출한 학성동 사업명칭은 '군사도시의 역전, 평화희망마을을 꿈꾸다'였다. 과거 징병 때 집결하던 곳이 원주역 앞이었다.

 또한 성매매 집결지인 학성동 희매촌의 옛 이름은 희망촌이었다. 광복 직후 지역유지였던 이재춘 씨가 월남한 피난민을 위해 임시거처를 마련해준 곳이 지금의 희매촌이다. 고인이 된 이재춘 씨는 당시 피난민들에게 희망을 잃지 말고 살라며 희망촌이란 이름을 붙였다. 그러나 성매매 집결지로 전락하며, 고인의 숭고한 뜻이 60년 넘게 훼손됐다. 원주시가 제출한 사업명칭은 이러한 과정을 담고 있다. 이제는 원주역 앞이 전쟁의 아픔을 딛고 희망을 노래하던 옛 지명의 원류를 되찾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8월 말 현재 학성동 인구는 5천438명이다. 관내 16개 동지역 중 중앙동에 이어 두 번째로 적다. 1980년대만 하더라도 학성동 인구는 지금의 3배 수준인 1만8천여 명에 달했다. 당시엔 원주역을 중심으로 경제활동도 활발했다. 물론 신도시가 형성되면서 대다수 원도심에서 공동화 현상이 발생했다.
 

 특히 원주는 혁신·기업도시 조성으로 원도심 공동화가 현재도 진행형이다. 그러나 학성동 만큼 심각한 곳은 없다. 희매촌 주변을 오가는 것만으로도 괜한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희매촌 일대를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은 경제적 사정으로 어쩔 수 없이 머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제는 이들의 상처를 보듬는 한편 성매매 집결지라는 주홍글씨를 과감하게 떼어내야 한다.
 

 공모사업 도전에 앞서 개최한 주민설명회에선 성매매 업주들이 강한 반발 기류를 드러냈다. 성매매 업주 및 종사자들이 원주시로 항의 방문한 일도 있었다. 앞으로 사업진행 과정에서 마찰이 예상되는 이유이다. 원주시는 자연스러운 정비를 통해 마찰을 피한다는 전략이다. 희매촌 일대에 소방도로를 개설하고, 공방거리를 조성하는 등 햇볕정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그러나 반발은 불가피할 것이다. 마찰을 최소화할 정교한 세팅이 요구된다. 성매매 여성들의 탈성매매 및 자활을 돕기 위한 지원조례 제정도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앞서 지원조례 제정을 추진한 지자체들에서 찬반양론이 제기된 전력이 있어서다. 불법을 자행해온 성매매 종사자들에게 혈세를 지급하는 건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었다. 장소를 옮겨 성매매를 지속할 것이란 우려도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럼에도 희매촌이 사라져야 한다는 대명제가 흔들려선 안 된다. 학성동 도시재생은 내년부터 2022년까지 추진된다. 원창묵 시장의 민선7기 임기와 맞물린다. 원 시장은 민선7기 공약으로 69개 과제를 제시했다. 그중 희매촌을 정비하는 것만으로도 원 시장의 업적은 길이 남을 것이다. 희매촌 폐쇄에 원주시가 총력을 기울이길 당부한다.

원주투데이 wonjutoday@hanmail.net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