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혁신도시 활로 모색 시급하다

기사승인 2018.11.26  

공유
default_news_ad1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이 이전 대상지역으로 가장 선호한 곳이 원주였다. 원주를 비롯해 전국 10곳에 혁신도시를 조성하기로 한 뒤 나온 반응이었다. 원주를 선호한 이유는 전국 10곳 중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가장 우수하기 때문이었다. 당시 알아채고 준비했어야 했다.

 혁신도시 기대효과가 그리 크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말이다. 하지만 선정 당시에는 장밋빛 청사진에 취해 청사진만 들여다보고 있었다. 향후 전개될 미래상을 제대로 짚지 못했다. 그 결과가 지금의 원주혁신도시다. 기대한 절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결과물이 제시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원주혁신도시로 인한 유·무형의 효과는 분명 있다. 그러나 원주혁신도시로 인한 폐해 또한 존재한다. 가장 극명한 게 원도심 공동화다. 작년 말 기준으로 원주혁신도시에 유입된 인구는 1만9천400여명이다. 이중 지역주민이 전체의 61.8%인 1만2천여 명이었다. 원도심 인구가 원주혁신도시로 유입된 것이다. 원도심 공동화가 초래된 이유이기도 하다.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혁신도시 정책이 지역에선 균형발전을 저해한 셈이다. 일시에 많은 인구가 이동하면서 원주혁신도시 정주여건도 미비하다. 불편한 대중교통은 간담회 단골메뉴다. 관공서, 병의원, 도서관도 원도심에 밀집해 있다.
 

 수도권과의 접근성은 독이 되고 있다.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원주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임직원의 가족동반 이주율은 37.5%에 그쳤다. 10개 혁신도시 중 충북을 제외하면 꼴찌였다. 가족들은 수도권에 거주하고, 나 홀로 원주에서 직장을 다니는 것이다. 금요일 퇴근하면 원주를 떠나 월요일 아침에 돌아온다. 원주혁신도시 음식점이 장사가 될 리가 없다. 유령도시라는 힐난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게다가 상가가 과잉 공급돼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계획인구를 3만1천명으로 산정해 상가를 공급한 결과다. 현재 인구와 1만 명 넘게 차이난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상가 업주들의 몫이 됐다.
 

 이전 공공기관들의 지역농산물 구매실적도 보잘 것 없다. 지난 국정감사 때 공개된 자료에서 드러났다. 원주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이 지역농산물을 구매한 실적은 전체 구매금액의 1%가 안됐다. 일부 공공기관은 구매실적이 전혀 없었다. 물론 전혀 없진 않을 것이다. 정부의 평가 지표가 아니다보니 구매실적을 기록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전 공공기관들이 원주를 바라보는 단면으로 느껴져 불편하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은 지역의 수요를 신규로 창출해야 한다. 그래야 지역산업이 발전하고, 경제가 활성화된다. 수요 창출을 시간이 해결해줄 것으로 믿으면 오판이다. 하루속히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는 구체적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 무엇보다 스킨십이 강화돼야 한다. 원주가 낯설지 않도록 지역주민과의 접점을 늘려야 한다. 이전 공공기관 임직원도 피해자일 수 있다. 그들을 포용해야 하는 건 원주시민이다.

원주투데이 wonjutoday@hanmail.net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