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원주시·범대위, 한 목소리 내야

기사승인 2019.04.08  

공유
default_news_ad1

  1군사령부가 태장2동을 떠나고, 그 자리를 화력부대가 차지하는 과정은 군사작전을 방불케 했다. 1군사령부가 태장2동에 주둔한 기간은 무려 65년이었다. 1군사령부를 가까운 이웃으로 여기고 살아온 시민들로선 배신감이 클 수밖에 없다. 게다가 미사일 지휘부대가 추가로 옛 1군사령부 터에 들어올 예정이라고 하니 배신감은 더 커진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국방부는 귀띔조차 하지 않았다. 에둘러 넌지시라도 알려줬다면 지금처럼 분노하진 않을 것이다. 군사기밀을 빌미로 군사작전 하듯 밀어붙인 결과 작금의 상황이 초래됐다.
 

 1군사령부가 주둔했던 65년이란 세월은 6.25 전쟁 이후 폐허에서 지금의 경제성장을 이루기까지의 시간과 과정이 담겨 있다. 물론 1군사령부가 원주에 기여한 노고는 결코 작지 않다. 그러나 만일 1군사령부가 태장2동에 터를 잡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태장2동이 지금과는 다른 양상으로 발전했을 것이란 추론이 가능하다.

 1군사령부로 인해 주변지역 개발이 철저히 봉쇄됐기 때문이다. '1군사령부 이전부지 환원 원주 범시민대책위원회'에서 옛 1군사령부 터를 원주시민에게 환원하라는 요구는 보상 차원에서도 충분히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 시점에서는 냉철하게 상황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해득실을 고려하자는 것이다.
 

 국방부가 옛 1군사령부 터를 무상 반환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협상테이블에선 가장 높은 값을 부르는 게 협상의 기본이다. 그러나 현실 가능성이 떨어진다면 대안을 고민해봐야 한다. 국방부가 옛 1군사령부 터를 환원한다면 군부대가 위치한 전국 곳곳에서 반환 요구가 잇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선례가 있으면 반박할 근거가 취약해져 궁지에 몰리기 때문에 국방부가 범시민대책위의 요구를 수요할 가능성은 희박한 셈이다. 법적으로도 무상 반환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
 

 범시민대책위와 원주시가 엇박자를 내고 있는 상황도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원주시는 옛 1군사령부 내 공원 조성과 기념관 개방 등을 요구했고, 최근 국방부로부터 긍정적인 회신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태장2동 원주IC 앞 군부지와 원주시 시유지의 맞교환에 대해서도 국방부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범시민대책위와 원주시의 요구에 온도차가 크다면 국방부는 귀책사유를 우리 쪽에 두고 문제의 본질을 피해갈 우려가 제기된다.
 

 원주시는 범시민대책위의 요구가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국방부를 설득해야 한다. 범시민대책위는 원주시와 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태장2동 캠프롱 반환이란 과제도 놓여있다. 지난 3월 19일 범시민대책위의 국방부 상경집회에선 원주시민의 결집된 역량이 충분히 발휘됐다. 국방부가 최근 입장에 변화를 보인 것도 상경집회의 결과란 분석이다. 이러한 결집력이 캠프롱 반환에 고스란히 이어지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

원주투데이 wonjutoday@hanmail.net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