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빚 갚느라 저축 포기

기사승인 2019.08.26  

공유
default_news_ad1

- 저축성예금 가계 비중 80→45%

   
▲ 가계 저축성예금 비중이 1980년 80%에서 현재 45%로 내려갔다. 가계대출이 증가해 저축 여력이 없기 때문. 도내 가계대출 증가율은 7.7%로 전국 평균 증가율 5.5%보다 높다.

가계 저축성예금 비중…1980년 80%→현재 45%
증가하는 가계 대출…가계대출 증가율 7.7%
월평균가처분 소득 374만 원…전년대비 0.5%↓
주택담보대출 등 원리금 상환 압박 커 저축여력 감소

"저축으론 이생망(이번 생은 망했어) 100%" 요즘 20~30대 청년들이 자주 하는 말이다. 이 말엔 취직해 저축을 해도 연예하고, 결혼하고 아이 낳아 기르기 힘들다는 한탄이 들어있다. 그런데 이 상황이 비단 20·30세대만 해당할까?

한국은행은 지난 22일 2019년 6월 중 강원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저축성예금 증가 폭은 전월 대비 대폭 축소했다. 지난 5월 증가 폭은 1조1천878억 원을 기록했는데 다음달 2천95억 원으로 떨어졌으니 80% 가까이 감소한 것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정기예금이 감소로 전환함에 따라 증가 폭이 크게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저축성예금은 현금흐름상 잉여자금의 성격이 강하다. 필요할 때 돈을 빼내는 요구불예금(예: 보통예금)과 달리 약정기간 돈을 맡겨야 이자수익을 얻는 구조이다. 그래서 저축성예금의 흐름을 보면 각 경제주체(가계, 기업, 정부)의 주머니 사정을 어림잡아 짐작할 수 있다.

지금의 50~60대는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을 통해 몫 돈을 불렸던 세대이다. 실례로 1980년대 후반만 하더라도 저축성예금 가운데 가계 비중은 80%(전국 기준)에 육박했다.

금융기관들은 이 예금을 바탕으로 기업에 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이어왔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 기업 비중이 확대되면서 가계 비중은 60%대로 내려갔다. 가계부채가 증가한 2000년 대 후반엔 50%대로 내려갔고 지금은 45% 수준에 머물고 있다.

저축성예금 비중 못지않게 가계의 요구불예금 비중도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요구불예금에서 가계가 차지하는 비중(전국 기준)은 2015년 1월 42.3%였다. 이후 지속적으로 내려가 지난 6월에는 38.3%까지 하락했다. 우리 지역도 마찬가지였다.

강원지역 요구불예금 규모는 지난해 5월 4천187억 원 수준이었으나, 올해 5월에는 4천867억 원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오히려 인구증가세 등을 감안하면 기존 가계의 요구불예금 규모는 더 축소됐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 마디로 가계가 더 이상 저축을 늘릴 여력이 없다는 의미이다.

가계의 저축 여력이 줄어드는 것은 가계부채 증가가 한몫하고 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2017년 7월 이후 가계대출대비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줄곧 40% 이상을 상회하고 있다"며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는 2016년 3월 이후로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부채 규모가 증가하면서 원리금 상환 부담에 처분가능소득이 줄고, 그에 따라 저축할 여력도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6월말 현재, 강원지역 가계대출의 전년동월말대비 증가율은 7.7%로 2017년 1월 이후 전국 증가율(5.1%)을 30개월 연속 상회했다. 원주도 시민 1인당 대출규모가 2015년 1천366만 원, 2016년 1천521만 원, 2017년 1천622만 원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반면 가계의 가처분 소득은 해마다 줄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 5월 발표한 2019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74만8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376만7천400원) 대비 0.5% 감소했다. 저금리 영향으로 금리가 낮은 저축성예금 대신 수익률이 높은 다른 투자처를 찾는 것 또한 가계 저축이 감소하는 원인이다.

최근 문제가 된 해외금리 연계형 파생결합펀드(DLF)와 파생결합증권(DLS)의 경우 수익률이 4%나 됐다. 우체국 정기예금 금리가 1% 초반에 머무른다는 점을 감안하면 가계자금이 저축성예금을 떠날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A은행 관계자는 "대출로 갚아야 할 원리금은 늘고 예금 금리는 갈수록 낮아지니 저축을 기피하는 경향이 짙다"며 "가계의 가처분 소득을 늘리는 세심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다니엘 기자 nice4sh@naver.com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