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주한미군사령부 "캠프 롱 조기 반환"

기사승인 2019.09.23  

공유
default_news_ad1

- 청와대 발표 후 첫 입장 발표

▲ 지난 2010년 10월 폐쇄된 캠프 롱.

캠프 롱과 캠프 이글의 조기 반환 가능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주한미군사령부는 지난 18일 보도자료를 통해 “신속 반환 절차가 추진될 기지에는 원주에 있는 캠프 이글과 캠프 롱, 부평에 있는 캠프 마켓, 동두천에 있는 캠프 호비 쉐아 사격장이 포함된다”고 공식 발표했다.

지난달 30일 청와대가 캠프 롱과 캠프 이글 등 4개 미군기지의 조기 반환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뒤 처음 나온 주한미군사령부의 반응이었다.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상임위원회의에서 26개 미군기지의 조기 반환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미군기지 반환이 장기간 지연됨에 따라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원주, 부평, 동두천 지역의 4개 미군기지에 대해 최대한 조기 반환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주한미군사령부가 청와대에서 언급한 4개 미군기지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이다. 주한미군사령부는 “캠프 이글, 캠프 롱 등 15개 미군기지는 이미 비워져 폐쇄됐다”며 “대한민국 정부로 전환이 가능하다”고 했다. 캠프 이글과 캠프 롱은 지난 2010년 10월 폐쇄됐다.

주한미군사령부는 “한미동맹의 증거로서 2002년 연합토지관리계획(LPP)과 2004년 용산기지 이전계획(YRP) 그리고 한미행정협정(SOFA)에 따라 가능한한 조속히 기지들을 반환할 것을 약속한 바 있다”는 입장도 밝혀 조기 반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다만 주한미군이 주둔했던 기지에서 발생한 토양오염에 대한 언급은 없어 토양오염 치유 주체에 대한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주한미군은 캠프 롱에 주둔한 당시 기름유출 사고를 일으켰다. 당시 오염원을 제거했으나 재오염이 발생해 복원사업이 시행돼야 한다.

그러나 주한미군이 주둔했던 기지에서 발생한 토양오염에 대해 주한미군이 복원비용을 부담한 사례는 전혀 없다. 때문에 조기 반환을 위해서는 우리 정부에서 복원사업을 시행할 것을 원주시와 시민들은 요구하고 있다.

한편 원주시는 지난 2013년부터 올해 6월까지 캠프 롱 반환 협약대금 790억 원을 완납했다. 캠프 롱이 반환되면 원주시는 문화체육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상용 기자 sylee@wonjutoday.co.kr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