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원도심은 죄가 없다

기사승인 2020.03.23  

공유
default_news_ad1

  코로나19 상황이 소강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원주에서는 지난 10일 발생한 17번 확진자 이후 추가 발생은 없었다. 그러나 아직은 심각 단계여서 경계를 늦출 순 없다. 철저한 개인위생과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 두기는 여전히 유효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활'을 위한 초인적인 대책은 시급을 다툰다. 모든 분야가 주저앉았기 때문이다. 전병선·조상숙 시의원이 지난 16일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기본소득 지원을 제안한 이유이기도 하다.

 원주시는 오는 24일부터 30일까지 일주일간 원주 전역에 대한 방역을 통해 코로나19를 박멸한다는 계획이다. 박멸에 이르지 못할지라도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원주시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시민 생활을 안정화하기 위한 코로나19 극복 대책을 추진한다. 원창묵 시장 지휘로 조기에 평상생활을 회복할 수 있도록 분야별 대책을 수립한다.

 여기에 더해 원도심 재생을 위한 속도전이 요구된다. 경기가 악화될 수록 원도심의 슬럼화에 속도가 붙기 때문이다. 대표적 원도심인 학성동, 중앙동, 봉산동은 다행히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선정됐다. 하지만 그 효과가 발휘되기까지는 적잖은 시간이 걸린다는 점에서 속도전이 필요하다.

 중앙동의 경우 건축물 818동 중 지은 지 20년 넘은 노후 건축물은 전체의 85%인 698동이다. 건축물 중 빈 점포나 폐가도 342개소에 달한다. 봉산동도 별반 다르지 않다. 봉산동의 노후 건축물은 전체의 74%를 차지한다.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이 취소되며 지역주민 이탈이 가속화됐다.

 중앙동과 봉산동은 조만간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이 고시돼 재생에 나서게 된다. 그러나 이와 별개의 단기사업을 통해 숨통을 틔울 필요가 있다. 가장 먼저 선정된 학성동은 작년 12월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이 고시됐다. 하지만 속도 면에선 중앙동, 봉산동과 크게 다르지 않다. 피부에 와닿는 시책 발굴을 통해 사람이 모이게끔 만들어야 한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 제외된 원도심의 활성화 대책은 더욱 분초를 다툰다.

 원주에서 원도심의 침체가 가속화된 건 아이러니하다. 균형발전을 목표로 추진된 혁신·기업도시의 여파이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공공기관과 기업을 지방으로 이전시켜 국가 균형발전을 이룬다는 게 혁신·기업도시 조성의 취지였다.

 그런데 정작 지역에선 불균형을 초래했다. 원도심 주민이 혁신·기업도시로 이전하며, 원도심 침체가 가속화된 것이다. 뒤늦은 후회지만 혁신도시를 원도심에 조성했다면 결과는 달랐을 것이다. 혹은 원도심 곳곳에 분산 조성했으면 어땠을까?

 지가가 낮은 땅을 고집한 경제 논리 때문에 외곽에 만들 수밖에 없었고, 결과는 원도심의 몰락을 부채질했다. 때문에 원도심은 죄가 없다. 오히려 피해자다. 경제 논리에 밀린 약자이다. 원도심 활성화는 중앙정부든, 지방정부든 정부의 책임인 것이다. 코로나19 종식과 더불어 원도심 치유를 위한 시책이 하루속히 시행되길 기대한다.

원주투데이 wonjutoday@hanmail.net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