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주·춘천 0.83㎦…2025년까지 180억 원 투입
▲ 세계경제포럼(WEF)과 MIT, 가트너(Gartner·IT 리서치 기업) 등은 미래 유망 기술의 20~30%가 CDSS(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나 디지털 치료제 분야(Red Bio)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미지: DB 사진자료) |
11월 제4차 규제자유특구 지정 목표
임상의사결정시스템·디지털 치료제 등 실증 추진
강원도가 정밀의료 빅데이터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추진한다. 원주와 춘천을 중심으로 규제특구를 열어 정밀의료 산업을 육성할 계획인 것. 오는 11월 지정 여부가 판가름 날 것으로 전망된다.
정밀의료는 환자마다 다른 유전체 정보, 환경 요인, 생활 습관 등을 분자 수준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해 최적의 치료법을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의 당뇨 치료는 약물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복약 후 혈당을 측정해 투여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병을 다스렸던 것.
하지만 정밀의료 영역에서는 환자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해 진단과 처방을 처음부터 달리한다. 식이요법이나 운동을 통해 병을 다스릴 수 있고 처음부터 삼제 요법(triple therapy)을 적용, 공격적으로 치료할 수도 있다. 환자에 맞는 운동이나 식단, 약물은 유전체 정보 등을 활용해 결정한다.
미국과 핀란드가 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은 오바마 전 대통령이 Precision Editon Initiative 법안을 만들어 1천만 명의 유전체 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축했다. 각 개인의 라이프로그, 보건의료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정밀진단을 내릴 수 있다. 핀란드 또한 전체 인구의 10%나 되는 유전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치료에 활용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과 MIT, 가트너(Gartner·IT 리서치 기업) 등은 미래 유망 기술의 20~30%가 CDSS(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나 디지털 치료제 분야(Red Bio)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밀의료 빅데이터산업과 관련이 깊은 글로벌 헬스케어 AI 시장은 무려 52.7%(2016~2022)나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규제에 막혀 정밀의료 산업이 첫발도 떼지 못하는 형국이다. 올해 데이터 3법이 국회를 통과되면서 개인정보 활용의 길이 열렸지만, 금융·보건의료 개인정보를 산업에 활용하려면 최소 몇 년이 소요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육현 교수는 "정밀의료 산업을 육성하려면 빅데이터 규제가 풀려서 데이터가 공유되고, 연결되고, 모아져야 한다"며 "지금 단계에서 이런 작업을 해놓지 않으면 정밀의료진단 시장을 선점하는 기회를 잃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강원도는 정밀의료 빅데이터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원주와 춘천 0.83㎦에 정밀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실증할 계획인 것.
대학병원이 보유한 진료 정보와 라이프로그 정보를 결합해 의료 데이터 웨어하우스(CDW·Clinical Data Warehouse)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활용한 CDSS나 디지털 치료제 개발도 추진한다. 180억 원을 투자하는데 재원조달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민자 등으로 충당할 계획이다.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강원도는 이미 디지털 헬스케어·액화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 전국에서 규제자유특구를 2개 보유한 곳은 강원과 울산뿐이어서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기존 디지털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 사업과의 중복 투자도 염두해야 한다.
박병구 도의원은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사업의 핵심"이라며 "원주엔 관련 인프라가 다 갖춰져 있는데 춘천에 새로 시설을 도입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최다니엘 기자 nice4s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