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잊혀져가는 원주의 작은 커뮤니티, 사할린동포

기사승인 2020.10.12  

공유
default_news_ad1

- 편안한 삶을 보낼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그들은 외롭게 살고 있었다.이들의 삶이 갖는 의미는 역사적인 무게와 지역사회의 책임을 필요로 한다.

 

 원주시 문막읍에는 바다 위 외로운 섬처럼 잊혀져가는 작은 커뮤니티가 있다.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의 역사적 상처를 안고 러시아 땅 사할린에서 이방인으로 살아오다 그렇게 희망했던 고국으로 영주 귀국한 사할린 동포가 그들이다. 2009년 문막에 새로운 삶터를 닦은 그들은 사할린 동포 1세대와 그 배우자 80명으로, 대부분 660~70대의 노인이었다. 그리고 10년이 흐른 지금, 지난 십 여년 동안 원주를 떠나간 동포들 뒤로 문막에 남아 살아가는 사할린 동포는 약 40여명. 이젠 70~80대 고령노인이 된 그들의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작년 말, 필자는 문막에 사할린 동포 커뮤니티가 있다는 이야길 듣고, 새로 개관한 노인복지관 문막 분관에서 도와드릴 일이 있을 것 같아 몇몇 사할린 동포 대표 분들을 만났다. 영주 귀국 이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특례수급자로 지정되어 생계비와 주거비, 그리고 의료급여(1종) 지원을 받고 있는 그들은 편안한 삶을 보내고 있으리라는 우리의 기대와 달리 그들은 고국에서 아무 역할 없이(無役割) 외롭게 살아가고 있었다.

 그들에게 영주 귀국은 더 이상 이방인으로 살지 않아도 된다는 희망과 같은 피부색,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고국 동포들과 어울려 일을 하고, 서로 어울려 살고 싶다는 막막했던 소원의 실현이었다. 그러나 막상 현실은 생활문화가 다른 그들과 소통하는 이웃은 없고, 세상 소식이 궁금해도 그들이 사용해온 고려어로는 TV나 신문에서 넘쳐나는 정보들을 이해할 수 없어 오히려 답답함을 더 할 뿐이었다.

 이곳에서의 외로움이 커질수록 함께 영주 귀국할 수 없었던 자녀와 손자녀들에 대한 그리움도 커졌다. 그나마 지원되는 생계비도 임대비, 관리비, 공과금을 제외하고 남은 20~30만원을 아껴가며 생활해야한다. 그래서 그들은 가능한 소비를 하지 않으려고 집 밖을 나오지 않는다 했다.

 일을 하고 싶어도 이젠 나이와 건강이 여의치 않고, 사할린에서의 직업력은 이 곳에서 그다지 쓸 모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함께 문막에 터를 잡았던 동포들은 이 외로움을 떨치기 위해 더 많은 동포들이 살고 있는 지역으로 이주해갔다. 문막의 사할린 동포 커뮤니티는 이렇게 점점 작아지고, 우리 시선에서 멀어지고 있었다.

 올 한 해 동안 제동력을 상실한 코로나19 팬데믹의 거대한 질병재난으로 35만 원주시민들이 직면한 삶의 어려움들을 생각하면 40여 명 남짓한 사할린 동포의 이야기는 어쩌면 현 시점에서 사회적 가중치를 부여하기 어려운 이야기일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의 삶이 갖는 의미는 40명이라는 인원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는 역사적인 무게와 지역사회의 책임을 필요로 한다.

 역사적으로 강제되었던 노동과 차별, 빈곤의 삶을 2세대, 3세대를 거치며 살아온 그들에게 생계비와 주거지원과 같은 최소한의 생존 조건을 마련했다 해서 우리의 의무를 다했다고 박수칠 순 없다. 그들은 단지 주거와 생계를 위해 고국에 돌아온 것이 아니었을 것이다. 고국의 하늘과 땅위에서 평생 지녔을 타인으로서의 긴장을 걷어내고 자신이 온전한 국민으로서 그 소속과 정체성을 존중받을 수 있는 그런 귀국을 기대했을 것이다. 

 2020년 5월 26일, 「사할린동포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일제강점기에 강제동원 등으로 사할린에 이주한 사할린동포에 대하여 관련 국가와의 외교적 노력을 통하여 그 피해를 구제하고, 사할린동포와 그 동반가족의 영주귀국과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제정된 법이다.

 그러나 법으로 보장할 수 있는 정착은 주거와 정착지원금과 같은 물리적 여건에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정착이란 본디 새로 들어오는 사람과 기존에 거주해온 사람들 간의 관계이고 교류이며, 이를 위해서는 상호 간 이해와 수용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런 면에서 우린 사할린의 영주귀국 동포 1세대에 대해 이러한 이해와 수용과 어울림의 시간을 충분히 갖지 못했다.

 그리움이 컸던 만큼. 모든 것이 너무나 낯설었을 고국에서의 지난 10년과 같이 그들의 남은 여생에 그 외로움이 지속돼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가 그들에게 약속했던 새 삶, 그리고 그들이 그토록 바랐던 고국에서의 삶이 어떤 것이었을지, '원주'라는 거대한 공동체 속에서 그나마 어렵게 일구었던 작은 커뮤니티조차 사라져, 이제는 점점 고립되어 가는 그들을 잠시 이해와 공감의 마음으로 생각해보았으면 좋겠다. 그들이 고국의 체온을 느낄 수 있도록.

박지영 상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wonjutoday@hanmail.net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