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강수 시장은 지난 18일 연합뉴스 TV가 주최한 경제포럼에서 '인구 100만의 경제중심도시 원주' 비전을 제시했다. 이날 포럼은 인구 감소로 촉발된 한국경제 위기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원주시는 인구 소멸 위기에 대한 대응전략으로 기업·투자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안전한 원주를 위한 범죄 사각지대 제로화, 모든 시민을 세심히 보살피는 따뜻한 복지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원주시 인구 상황은 녹록지 않다. 최근 10년간 원주시 인구는 연간 3천 명에서 많게는 5천 명 넘게 증가했다. 그런데 올해에는 8월까지 461명 증가에 그쳤다. 이유는 혁신·기업도시 약발이 다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그동안 원주시는 지리적 강점으로 인구 유입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 노무현 정부 시절 추진한 수도권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당시 공공기관 임직원들이 전국 혁신도시 중 가장 선호한 지역이 원주시였다. 전국 혁신도시 중 원주시가 수도권과 가장 가깝기 때문이었다. 기업도시도 같은 이유로 성공적 조성을 완료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매년 전국 시군구의 지방소멸위험지수를 발표한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가임 여성 수를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로 나눈 값이다. 올해 원주시 지방소멸위험지수는 5단계 중 중간인 '주의 단계'이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하면 향후 4∼5년 안에 소멸위험진입 단계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원주시 지방소멸위험지수가 해마다 악화하며 올해는 0.693을 기록, 소멸위험진입 단계(0.2∼0.5 미만)에 근접해 있어서다.
현재 원주시 인구를 0세부터 29세까지 나열하면 0세에 가까울수록 인구수가 적다. 노인 인구 비율은 5년 전 13.72%에서 현재 16.9%로 확대되며, 이제 원주시도 초고령사회로 접어들었다. 저출산·고령화의 심화는 물론 생산가능인구가 꾸준히 감소하는 상황이어서 도시 활력의 저하가 우려된다. 원주시는 저출산·고령화에 대비한 인구 정책으로 올해 저출산 대응, 정주여건 향상, 일자리 창출 등 4개 분야 145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투입하는 예산은 자그마치 4천255억 원이다.
문제는 145개 사업 중 원주시만의 특화된 인구 정책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원주시는 지난 2017년 전담조직인 인구정책팀을 신설하고, 이듬해에는 인구정책 지원 조례를 제정했으며, 조례에 의거해 인구정책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있다. 중앙정부도 인구 정책을 수립하고,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 있지만 개선됐다는 지표는 제시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인구 36만의 중소도시인 원주시에 매우 획기적인 대책을 요구하는 게 무리인 건 맞다. 하지만 지속 가능하게 발전하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마른걸레에서 물기를 짜내듯 원주시에 대책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 다른 지자체와 유사한 대책이 아닌, 원주시만의 인구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지혜를 모아야 한다. 또한, 멀리 내다보는 종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원주투데이 wonjutoday@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