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이 무엇이냐? 라고 하는 것에 대한 입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쾌락주의적 입장으로 행복은 개인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유쾌한 상태라는 관점이다. 행복은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해서 만족스럽게 느끼는 주관적인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개인이 자신의 생활을 긍정적으로 경험하는 주관적인 심리상태를 말하는 주관적 안녕과 자신이 설정한 기준과 비교하여 삶의 상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평가하느냐 하는 삶의 만족도 또는 삶의 질, 몰입경험, 긍정정서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두 번째, 자기실현 입장으로 행복은 개인의 잠재적 가능성을 충분히 발현하는 것이라는 관점이다. 개인의 성격적 강점과 덕목을 충분히 계발하고 발휘함으로써 인생의 중요한 영역에서 의미 있는 삶을 구현하는 것이 행복이라는 태도다. 여기서 말하는 개인의 강점과 덕목이라는 것은 지혜, 용기, 창의성, 관용, 절제 등을 말한다.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
1, 낙관성 :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전망의 경향성
2. 자존감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을 가치 있는 유능한 존재로 생각하며 자신에 대한 만족감을 지닌다. 주의할 점은 지나치게 높은 자존감은 비현실적 근거에 기초하고 있거나 취약한 자존감을 보상하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하게 높은 목표나 기대수준을 지니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실패와 더불어 자기비난을 초래할 수도 있다.
3. 사교성
성격 유형 구분 중에 외향성의 구성요소인 사교성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사교적인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기회가 많고, 그들로부터 긍정적 피드백을 많이 얻게 되므로 행복도가 높아질 수 있다.
4. 통제감
좋은 결과를 극대화하고 나쁜 것은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스스로 행동할 수 있다는 믿음. 개인적으로 중요한 삶의 사건들에 대해서 자신이 통제할 수 있다는 신념을 의미한다.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은 자기 유능감, 삶에 대한 자신감, 미래에 대한 긍정적 확신을 심어주어 행복감을 증진 시킨다.
5. 긍정적 인간관계
가족, 친구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친밀감은 삶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이다. 물질적 풍요, 건강, 여가활동 보다 더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좋은 사람과 친밀하고 지지적인 관계 속에서 살고 있다고 느낀다면, 자존감과 자신감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어려움에 적극적으로 잘 대처하게 된다. 긍정적인 인간관계와 행복은 상호작용적인 것이어서, 행복감을 느낄 때 인간관계가 증진될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 경험을 통해 행복감이 증진 된다.
6.인생의 목적의식
자신에게 의미 있는 다양한 목표를 적극적으로 추구할수록 행복감이 증진 된다.
이창화 원심리발달센터 원장 wonjutoday@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