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캠프롱 반환 지연…토양오염 확산

기사승인 2019.06.24  

공유
default_news_ad1

- 토양 복원 놓고 국방부·환경부·외교부 서로 미뤄

▲ 캠프롱 반환이 지연되며 토양오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캠프롱 반환이 지연되면서 토양오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캠프롱 외부로 오염 확산이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캠프롱 주변에서 주민들이 농작물을 경작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2차 피해가 우려된다.

한국환경공단에서 작성한 “2017년 주한미군 공여지 주변지역 토양·지하수 오염평가 결과보고서’에 의하면 캠프롱 토양오염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147개 지점, 622개 시료에 대한 정밀조사를 시행한 결과 석유계총탄화수소(TPH), 벤젠, 카드뮴, 아연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했다.

TPH의 토양오염우려기준은 1㎏당 500㎎이지만 캠프롱에선 최고 18배에 달하는 9천12㎎이 검출됐다. 벤젠은 기준치 대비 5.9배, 아연은 2.8배, 카드뮴은 1.5배 검출됐다. 토양오염우려기준은 사람의 건강 및 재산과 동식물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토양오염 기준이다. 캠프롱에선 기준을 초과해 우려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

유류 오염지역의 경우 지난 2008년 기름유출 사고지역과 인접해 있다. 2008년 당시 내부 오염원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아 재오염된 것으로 한국환경공단은 분석했다. 또한 내부 오염원 제거 및 정화가 이뤄지기 전까지 외부로 오염 확산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밀조사는 2016년 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진행됐다. 조사가 완료된 시점에서 2년 넘게 지났기 때문에 오염지역이 확산됐을 가능성이 높다. 한국환경공단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오염예방 관리가 필요하다고 했지만 캠프롱 출입이 제한돼 오염예방 관리는 진행되지 않았다.

특히 오염된 토양의 복원 문제를 놓고 정부 부처 간 ‘핑퐁 게임’을 하고 있어 원주시민의 분노를 초래하고 있다. 토양을 오염시킨 범인은 캠프롱에 주둔했던 미군이다. 그러나 미군이 주둔했던 곳에서 환경오염 정화비용을 부담한 사례는 지금까지 없다.

현실적으로 우리 정부에서 부담해야 하지만 국방부, 환경부, 외교부 등 관련부처는 서로 다른 부처로 미루는 핑퐁 게임을 하고 있는 것이다. 각 부처를 조율해야 하는 국무조정실마저도 문제를 도외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캠프롱 반환 지연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원주시민에게 전가되고 있다. 오염지역 확산으로 건강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은 물론 캠프롱에 조성하려는 문화체육시설 활용도 지연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캠프롱 맞은편인 옛 1군사령부 터에 미사일사령부가 주둔하면서 국방부를 향한 태장2동 주민들의 반발 수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한편 원주시는 캠프롱 부지 매입에 따른 잔금 선납을 국방부에 요청했다. 원주시는 2013년 6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캠프롱 부지 매입비 665억 원을 완납했고, 이후 매입비 증가분 124억8천만 원을 납부하겠다고 국방부에 통보했다. 캠프롱 반환이 늦어질수록 지가 상승에 따라 원주시가 부담해야 하는 매입비는 늘어난다.

이상용 기자 sylee@wonjutoday.co.kr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