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국방부, 대화 테이블 마련하라

기사승인 2018.11.12  

공유
default_news_ad1

  1군사령부 터를 원주시민에게 환원하라는 우리의 주장은 오랜 인고의 산물이자 시대적 요구이다. 1군사령부, 1군지사, 캠프롱, 제8전투비행단 등 각종 군부대로 인한 시민 피해는 헤아릴 수 없다. 그런데 1군사령부가 경기도 용인으로 이전한 뒤 미사일 부대가 1군사령부 터에 입주한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참다못해 터져 나온 외침이란 점에서 지역 이기주의와도 차별화된다. 
 

 지정학적으로 원주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6.25 전쟁을 치른 뒤에는 군사도시란 타이틀이 부여됐다. 지금도 도심 곳곳에 군부대가 입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군사도시 흔적이 역력하다. 원일로, 중앙로, 평원로를 A·B·C 도로로 부르는 이가 아직도 적지 않다. A·B·C 도로는 6.25 전쟁 당시 미군들이 작전수행을 위해 편의상 붙인 도로명이었다고 한다.

 일산동 시민문화센터 자리에는 과거 1군사령부에서 운영하던 군인극장이 있었다. 단구동에는 군 활주로가 있었고, 태장동에는 국군병원이 있었다. 도심에 위치한 군부대는 그곳에 살던 주민을 강제로 이주시켰기 때문에 노른자위 땅을 차지할 수 있었다. 군부대 주변은 개발이 억제됐고, 소음피해에 시달려야 했다. 제8전투비행단 소음피해로 인한 소송은 지금도 진행형이다. 국가 안보라는 대의에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당한 것이다. 그런데 1군사령부에 미사일 부대가 들어선다니 억장이 무너지지 않겠는가.
 

 우산동 1군지사를 외곽으로 이전하기로 한 건 2001년 결정됐다. 당시 결정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중앙선 복선전철 신설에 따라 원주역 폐쇄가 결정됐기 때문이었다. 전시에 군수물자를 수송하기 위해선 1군지사 옆에 반드시 철도시설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1군지사는 이전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국방부가 1군지사 이전을 승인 고시한 건 15년 후인 2015년 11월이었다. 그 기간 동안 투입된 원주시 행정력은 말할 것도 없고, 시민 피로감도 매우 컸다.
 

 캠프롱 역시 골칫덩이다. 원주시가 국방부에 부지매입비를 완납했는데도 반환은 하세월이다. 물론 캠프롱 문제는 미군부대가 키를 쥐고 있다. 그러나 미군부대를 상대할 수 있는 건 원주시가 아니라 국방부다. 우리로서는 국방부에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캠프롱과 1군사령부가 입지해 있는 태장2동 주민들의 상실감은 매우 크다. 1군사령부가 떠난다는 소식에 지역경제 위축을 걱정하다가 미사일 부대가 입주할 거란 소문에 걱정은 공포로 바뀌었다. 
 

 1군사령부 논란에서 시민들이 답답해하는 건 깜깜이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미사일 부대 이전도 소문일 뿐 국방부에서 확인해준 바는 없다. 군사기밀을 빌미로 밀어붙이기식 '작전'을 수행 중이다. 원주에서 벌어지는 일을 원주시민이 모른대서야 말이 안 된다. 지역사회의 외침을 국방부가 모를 리 없다. 국방부는 하루속히 대화 창구를 마련해 시민의 궁금증을 해소해야 한다. 그래야만 좋든 나쁘든 활로가 보일 것이다.

원주투데이 wonjutoday@hanmail.net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