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국방부, 언제까지 침묵할 텐가?

기사승인 2019.01.14  

공유
default_news_ad1

  예로부터 원주는 전략적 요충지로 통했다. 그런데 그 여파가 현대사까지 아우르고 있다. 1990년대까지 원주는 군사도시로 불렸다. 군사도시 이미지를 지우기 위해 무던히 노력하던 때가 있었다. 노력의 결실로 대규모 군부대의 외곽이전은 성사됐다. 1군지사와 4개 예하부대가 호저면 만종리로 이전을 앞두고 있다. 그런데 군사도시 이미지는 꼬리가 참 길다. 1군사령부, 캠프롱, 통합사격장 얘기다.
 

 1군사령부는 경기도 용인으로 통합·이전했다. 이전이 확정·발표된 건 오래전 일이다. 그간 인근지역 주민들은 불안해했다. 수천 명의 군 간부와 장병이 떠나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이들의 경제활동이 태장동에 미치는 여파는 적지 않았다.

 하지만 대응할 방법이 마땅치 않았다. 방법도 몰랐다. 군부대라는 특수성 때문이었다. 국가안보, 국가방위라는 대의가 장막을 쳐 울타리 밖에서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1군사령부 이전을 불과 3개월 가량 앞두고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1군사령부가 떠난 자리를 지상작전군사령부 예하 화력여단이 차지한다는 것이었다. 불안이 분노로 바뀌는 순간은 찰나였다. 1군사령부로 인해 감내한 손실에 대한 보상은커녕 부대 교체에 대한 귀띔조차 없었다.
 

 우산동 1군지사 이전이 숙원사업이었던 이유는 주변지역 개발행위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군부대 주변은 개발행위가 철저히 제한된다. 위성으로 온 천하를 샅샅이 둘러보는 세상에 살고 있지만 법이 그렇다. 1군사령부도 마찬가지다. 1군사령부 이전에 실낱같은 희망을 걸었던 건 주변지역 개발행위였다.

 그러나 화력여단이 들어서면서 무참히 조각났다. 이 일을 계기로 원주시민은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1군사령부 터를 시민에게 환원하라는 것이다. 작년 11월 원창묵 시장, 신재섭 시의장, 김기선·송기헌 국회의원은 정경두 국방부장관을 면담했다.

 이 자리에서 1군사령부 터에 평화박물관과 공원 조성을 요청했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현재 화력여단 지휘부만 이전한 상태이고, 1군사령부 터가 워낙 넓어 성사 가능성은 충분하다. 물론 명분도 충분하다.
 

 지난 10일엔 태장2동 주민대책위원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차 요구했다. 시민들의 목소리는 국방부에서 익히 알 것이다. 그럼에도 국방부를 향한 언로는 여전히 막혀 있다. 수차에 걸쳐 민관군 협의회 구성을 요구했지만 답이 없다. 원주시에서 보낸 공문에도 국방부는 묵묵부답이다. 캠프롱 환원, 통합사격장 신설도 이런저런 이유로 꼬여있다. '군사도시 망령'이 작동하는 게 아닌지 의심이 갈 정도다.
 

 군부대로 인해 도시발전에 제약이 가해진 건 60년이 넘는다. 참을 만큼 참았다. 최소한 대화 창구라도 개설해야 후폭풍이 덜할 것이다. 군사기밀을 빌미로 언제까지 숨어있을 것인가. 실력행사에 나선 뒤 테이블에 나서는 건 후진적 발상이다. 군의 신뢰를 깎아먹는 일이기도 하다. 국방부가 하루속히 대화의 장에 나서길 촉구한다.

원주투데이 wonjutoday@hanmail.net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