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35만 도시로도 행복할 수 있다

기사승인 2019.07.01  

공유
default_news_ad1

  원주시는 인구 100만 명의 광역시를 추구하고 있다. 인구 규모가 커져야 일자리가 확대되고, 자영업자 수익이 늘어난다는 논리다. 인구 규모에 어울리는 교육, 교통, 금융, 문화 인프라 확충으로 정주여건도 향상된다는 게 원주시의 설명이다. 그래서 50만, 70만에 이어 지금은 100만 광역시가 거론된다.
 

 지난 25일 열린 원주시의회 시정질문에서도 100만 광역시가 언급됐다. 원창묵 시장은 시정질문 답변에서 "남은 임기 동안 주요사업을 잘 마무리해 원주시가 100만 광역시로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원주시는 도내 18개 시·군 중 1992년부터 현재까지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원주는 복 받은 도시다.
 

 그러나 원주시의 인구 증가는 외부적 요인으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혁신도시와 기업도시 덕분이란 얘기다. 앞으로도 이러한 '빅 이벤트' 없이 자연증가로 인구가 늘 것을 기대하는 건 무리다. 강원도가 실시한 도내 시·군 장래인구 추계가 이를 뒷받침한다. 장래인구 추계에서 2035년 원주시 인구는 36만2천204명으로 추정됐다.

 현재 인구에서 향후 16년간 고작 1만6천 명가량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이었다. 그나마도 2035년 인구가 30만 명을 넘는 도시는 도내에서 원주시가 유일할 것으로 추계됐다. 따라서 100만 광역시는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인구 증가 요인이었던 혁신·기업도시로 인해 시민들의 삶은 나아졌을까? 혁신·기업도시에 이어 평창동계올림픽 관문 도시라는 이유로 원주의 땅값과 집값은 급등했다. 그러나 땅값·집값의 급등으로 인한 부의 분배는 불공정했다. 거대 자본으로 무장한 외지 투기세력에게 혜택이 돌아간 것이다. 지역주민 중에서는 소수만 혜택을 누렸다. 빈부의 격차는 더 커진 셈이다. 상대적 박탈감은 지역사회를 뒤숭숭하게 만들었다.
 

 기업도시 새 아파트를 분양받은 일부 사람들은 요즘 밤잠을 설친다고 한다. 새 아파트 입주 시기가 됐는데, 현재 거주하는 주택이 팔리지 않아서다. 원주의 미분양 아파트가 지난 5월 말 현재 약 3천400세대에 달하는 여파이다. 최근 열린 원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원주시의 주택정책에 속도 조절을 요구하는 질타가 이어졌다. 수요 예측에 실패했다는 지적이었다.

 아파트 과잉공급으로 미분양이 적체돼있는 상황에서 남원주역세권, 부론 산업단지에 또다시 신규 아파트 분양이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원주의 아파트값 내림세는 전국 최고 수준을 보인다.
 

 도시의 외연 확대는 원도심 공동화와도 직결되기 때문에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무엇보다 현실을 고려한 인구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아파트가 전 재산인 대다수 소시민에게 아파트 과잉공급은 혹독한 처사이다. 원주에 사는 즐거움이 꼭 100만 광역시일 필요는 없다. 35만 규모의 자족도시로서 공동체 의식이 강화된다면 그 자체로 행복한 도시일 수 있다.

원주투데이 wonjutoday@hanmail.net

<저작권자 © 원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